Superconductor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이 없고 자기 선속 장이 방출되는 물질입니다. 이러한 물질은 초전도성을 보여줍니다. 전기 에너지를 거의 무한정 저장할 수 있고 무손실에 가까운 에너지 전달이 가능합니다.
1911년, Heike Onnes에 의해 초전도성이 발견되었는데, 그가 수은 샘플을 절대영도에서 4.2도로 식혔을 때, 그것의 전기 저항이 0으로 떨어졌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이 이후로도 연구를 거듭해 더 높은 온도에서도 작동되는 초전도체도 등장했지만 여전히 액체 질소와 같은 것이 필요합니다.
초전도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온도[]
저온 초전도체[]
Low-Temperature Superconductor
저온 초전도체는 제일 먼저 발견된 초전도체로 최소 (약 ) 이상 (약 ) 이하에서 작동되는 초전도체로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초전도체가 이거입니다.
문제는 액체 헬륨을 써야한다는게 단점이며 지구 내 헬륨 고갈 문제와 직결되어있습니다.
고온 초전도체[]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고온 초전도체는 최소 (약 ) 이상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약 )의 온도에서만 사용가능하며 실험에서의 얻은 고온 초전도체. 즉, 고온 저압의 경우 (약 ), 고온 고압의 경우 의심되는 것을 제외하면 (약 )까지 가능합니다.
이름과는 달리 이상 이하의 온도를 가진 초전도체는 주로 액체 질소를 사용합니다.
냉동 및 냉장 초전도체[]
Frozen/Cold/Refrigeration Superconductor
냉동 초전도체. 정확히는 냉동·상압 초전도체, 냉장·상압 초전도체로 ~ 약 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말합니다.
이 수준의 초전도체도 인류 문명에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다른 기술 혁명이 될 수 있습니다.
상온 초전도체[]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상온 초전도체. 정확히는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불리며 이 꿈의 초전도체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2023년 기준 LK-99가 그 후보로 되어있지만 실패 및 착각일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설령 맞더라도 납이 최대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생체 및 생물 안전도. 즉, 생태계 및 노동자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나 개량판이 나올 경우 진짜가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제임스 카메론의 영화 아바타 시리즈에서 약 80여년 뒤 인류가 그렇게 기를 쓰고 찾던 언옵타늄이 바로 이 초전도체를 의미합니다.